본문 바로가기

おはようタックスフント

(너만) 일본어 독학 어려운 거 아니야_1_50음도/히라가나/카타카나

안타깝게도 외국어 공부는 언제나 어렵습니다. 특히나 독학은 너무너무 힘들죠. 중간에 포기하신 분들 정말 많죠? 저도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등등 독학으로 공부 많이 해봤는데 결국 어느 시점 가면 포기하게 되더라구요. 나름 외국어 공부하는거 좋아하는데 그나마 좀 하는 말은 한국어랑 영어(미국어)밖에 없고, 가고 싶은 회사 사장님이 일본인이라는 걸 알게 되면서 이번에야 말로 하나 제대로 해보자!라는 생각이 들어서 일본어를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1년 다 돼가는데, 하면서 든 생각은 저희 삼촌께서(전 후쿠오카대 교수) 말씀하셨던 것처럼 한국인이 배우기에 이만큼 쉬운 말이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1년간 혼자 배운거 복습도 할겸 배운거 독학하시는 분들이랑 공유도 하고 소통도 할겸 블로그에 남겨 보기로 합니다. 아시는 것처럼 한자는 좀 어렵습니다. 근데 이것도 몇가지만 알고, 기본 한자만 좀 아시면 금방 되더라구요. 일본어는 습득력 빠른 학생이나 청년들도, 한자를 많이 아시는 어르신들도 배우기 참 좋은거 같습니다. 어쨌든 어려운 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안어려운것도 아니라서 (너만) 일본어 독학 어려운 거 아니야라는 제목으로 일본어 독학을 시작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일본어 독학 첫날이니만큼 역시 글자를 알아야겠죠? 세종대왕님의 한글도 위대한 문자이지만, 일본어의 문자도,,,라기엔 부족한 점이 많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하셔야해요. 그럼 일본어의 글자 50음도, 히라가나와 카타카나를 익혀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 일본어는 한자를 제외하고 히라가나, 카타카나 총 100개의 글자로 돼있습니다. 그러나 50음도만 외우면 대부분의 소리를 다 외우는 것이므로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그럼 아래 표로 공부해봅시다.

 

히라가나_ひらがな

  あ행 か행 さ행 た행 な행 は행 ま행 や행 ら행 わ행  
あ단 あ[아} か[카] さ[사] た[타] な[나] は[하] ま[마] や[야] ら[라] わ[와] ん[응]
い단 い[이] き[키] し[시] ち[치] に[니] ひ[히] み[미]   り[리]    
う단 う[우] く[쿠] す[스] つ[츠] ぬ[누] ふ[후] む[무] ゆ[유] る[루]    
え단 え[에] け[케] せ[세] て[테] ね[네] へ[헤] め[메]   れ[레]    
お단 お[오] こ[코] そ[소] と[토] の[노] ほ[호] も[모] よ[요] ろ[로] を[오]  

1. 가로줄을 행이라고 하며 세로줄을 단이라고 합니다. 일본어를 공부하시다보면 어미를 무슨 단으로 바꾼다 이런 설명     을 자주 들으실텐데요, 예를들어 つ를 あ단으로 바꾼다고 하면 た로 바꿔주시면 되는겁니다. 참 쉽죠잉?

2. 발음 기호는 편의상 한글로 표시했습니다. 그러나 외국어라는게 언제나 그렇듯이 1:1로 대응시키는건 어렵습니다. 일     본어는 그래도 한국 발음과 비슷해서 저대로 발음해도 일본인을 이해시키는데는 크게 문제 없으시겠습니다. 그나마       크게 다른 발음으로는 う단의 글자 같은 경우에 정확히 한글 [우] 발음이 아닙니다. さ、た행은 [스], [츠]로 해논걸 보     실수 있을텐데요, 네, 우와 으, 그 사이 어딘가 쯤이라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つ[츠]같은 경우에도 한국어의 치읓과     는 다소 다릅니다. 이런 발음들은 레벨업 하시고 듣기 공부하시면서 차차 알아가시게 될 것입니다! 

2-1. ん은 행이라 할것이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다른 글자 뒤에 붙어서 한글로 치자면 비음이 나는 받침으로 발음됩니          다. ㅇ, ㄴ, ㅁ등으로 발음하는데 기본적으로 ㅇ 값으로 보시면 될것입니다. たん:탕(타응) 이런 식입니다. 타응이라        고 굳이 표기한 이유는 한글 이응 받침과는 달리, ん은 한음절로 취급받기 때문입니다.

3. 자 이건 외우셔야 합니다. 저는 아이에우에, 아카사타나하마야라와응으로 외웠습니다.(아가사탕, 나 하마야, 라왕;;;)

 

배운것을 토대로 죄송합니다라는 뜻인 스미마셍을 한번 적어볼까요?

정답: すみません。

연식이 나오죠? 드래그 해보세용.ㅋㅋ

 

카타카나_カタカナ

     
   
     
 

1. 이번 표는 히라가나 표보다 간단하죠? 그렇습니다. 같은 위치에 있는 글자는 음가가 똑같습니다. 다만 글자가 다를 뿐     이죠. (절대 귀찮아서 안한거 아님주의) 다만, 이렇게 같은 소리를 다른 글자로 표기하는 이유는 일본어는 외래어, 전       보문, 의성어, 의태어, 동식물, 강조효과를 표기하기 위해 이처럼 가타카나를 사용한답니다.

2, 이것도 외우셔야 합니다! 히라가나와 비슷한 것도 있고, 서로서로 비슷한 것도 있으니 유의하시면서 외우세요. 저는       한글이랑 외형적 유사성을 이용해서 외우기도 했답니다.

 

배운것을 바탕으로 일본어 입장에서 외래어인 본인의 이름을 적어볼까요?

영화배우 김태리라고 한다면 キム テリ가 되겠네요,

 

이렇게 일본어의 글자가 끝났다고 하실 줄 아셨죠? 아직 안심하긴 이르죠, 탁음, 반탁음, 요음, 촉음이 아직 남아있으니까요! 오늘은 너무 많이 배워서 머리가 아프니까 다음 포스트에서 배워보기로 해요!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꼭 수정해주시면 대단히 감사드리겠습니다!

 

이제 스타트 끊으셨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저랑 같이 끝까지 해봐요!

じゃ、またね!